tape모니터 아웃 - 녹음을 위한 단자로 볼륨 거치지 않음(풀출력)
프리아웃 - 외부 파워앰프 연결을 위한 단자로 볼륨부 거침
테이프아웃 같은 경우는 볼륨조정이 안되서 그때그때 우퍼볼륨을 따로 조정해야 합니다.
"프리 아웃 역할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단, 음량 조절은 안돼니,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파워앰프가 있어야 겠지요. 인티앰프나 프리앰프에 파워 앰프를 추가로 운용할 수 있는 팁입니다."
tape outputs will work with most professional audio interface "line-level" inputs if interface has adjustable gain.
It is unbalanced, so keep the cable lengths short (under 2-meters is good)
https://www.gearslutz.com/board/newbie-audio-engineering-production-question-zone/935656-what-tape-outputs.html
서브우퍼에 스피커 터미널 단자가 있다면 메인 스피커 케이블이 우퍼 in out을 거쳐 스피커로 연결 되도록 연결 해 주시면 됩니다.
서브우퍼의 크로스오버 (프리아웃 시)
북셀프 스펙상에 나와있는 저음 주파수 대역에 비슷하거나 조금낮게 크로스 오버를 설정합니다. (스펙이 60-20khz면, 대략 60Hz나 그보다 조금 낮게(예를 들어 50Hz..) 설정)
스피커 레벨 인풋의 경우 80Hz
여러 음악을 들어봤는데 서브우퍼가 부담이 없으면..
서브우퍼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조금 올려봅니다(프리아웃 설정시..)
북셀프의 저역한계에 과장이 있는 경우가 꽤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스펙에는 50Hz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70Hz 정도에서 감쇄되는 경우..)
서브우퍼를 좀더 최적으로 사용하려면 서브우퍼에 들어가는 신호와 메인스피커로 들어가는 신호를 구분해 주어야 합니다. 이런 역할을 쉽게 수행해 주는 것이 AV앰프에 들어있는 서브우퍼 채널 설정입니다. AV앰프가 액티브 채널디바이더의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앰프에서 서브우퍼로 스피커레벨 인/아웃 을 이용하는 경우 서브우퍼가 채널 디바이더의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http://www.wassada.com/bbs_detail.php?bbs_num=103451&tb=board_hifi
댓글 없음:
댓글 쓰기